top of page
메인: 인사
SINCHON
CENTRE FOR
CULTURAL-POLITICS
RESEARCH
검색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3년 5월 4일4분 분량
[승우] 신도시 경관
얼마 전, 일이 있어 은평구 진관동에 갈 일이 있었다. 은평구 진관동. 흔히 진관동이라는 행정구역명보다, ‘은평 뉴타운’으로 많이 지칭되는 곳. 물론 이곳은 은평구로 이사온 이후 몇 번 들렀던 경험이 있긴하다. 하지만 이전의 경험이 은평 뉴타운...
조회수 219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3년 3월 2일4분 분량
[승우] '-테리어'의 시대
먼저, 여기서 제목에 쓰인 ‘테리어’는 개의 품종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힌다. 여기서 ‘-테리어’란 각종 단어와 결합하여 쓰이는 말로, ‘인테리어’를 의미한다. ‘-테리어’의 용례는 대표적으로 책상 및 서재 환경을 꾸미는 ‘데스크테리어’,...
조회수 124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2년 12월 20일2분 분량
[승우] 축제가 끝나고, 이제는 이야기를 해야할 때
세계인의 축제라는 월드컵 행사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이번 월드컵은 북반구의 겨울이라는 기존과는 이질적인 계절에서 치러졌다는 특이성과 함께 많은 이야깃거리를 낳았다. 이번 월드컵에서는 그간 축구의 변방으로 불렸던 아시아 축구 연맹에 소속된...
조회수 84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2년 11월 20일3분 분량
[승우] 도시의 냄새 경관
꿉꿉한 하수구 냄새, 음식물 쓰레기 냄새, 골목 곳곳에서 스멀스멀 올라오는 생활 쓰레기와 담배 냄새. 이번에 새로 이사를 오며 가장 먼저 감각한 것은 동네의 경관도, 정취도 아닌 냄새였다. 이는 이전에 살던 동네에서는 미처 감각하지 못했던...
조회수 156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2년 6월 20일2분 분량
[승우] 로컬을 생각하다
최근 SNS를 중심으로 싸이의 ‘흠뻑쇼’와 관련한 논쟁이 격화되고 있다. 회당 300톤 가량의 물을 사용하는 ‘흠뻑쇼’ 콘서트 개최와 관련하여, 한 배우가 “워터밤 콘서트 물 300t 소양강에 뿌려줬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트위터에 개진한 것을...
조회수 124회댓글 1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2년 4월 20일4분 분량
[승우] 일상과 공간, 그리고 권리
우리는 일상을 살아가며 숱한 사람들을 보게 된다. 특히 서울이라는 대도시 공간을 거닐다보면 우리는 다양한 얼굴만큼이나 다양한 사람들을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그들의 일상과 그를 구성하는 숱한 보행과 움직임들은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 공간의...
조회수 116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2년 3월 20일3분 분량
[승우] 5년 전, 그리고 지금. 대선이 끝난 후에 대한 단상.
5년 전, 뒤집힌 정권과 그를 이끌어낸 광화문에 모였던 수많은 사람들의 바람은 지금 어디쯤 있을까? 이번 대선 정국을 바라보며 항상 떠올랐던 생각이다. 그도 그럴것이, 5년 전 광장에 모인 제각각의 바람들은 촛불이라는 하나의 큰 흐름으로 모였다....
조회수 73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2년 2월 19일3분 분량
[승우] 골목의 흔적
내가 거주하는 동네의 전철역 앞은 여느 전철역이 그렇듯이 나름의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에 따른 혼잡함과 다소간의 소란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지만, 전철역에서 그리 멀지 않은 거리에 위치한 이곳은 역전의 소음은 들리지 않는 꽤 조용한...
조회수 92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1년 6월 11일3분 분량
[승우] 민주주의와 평등
늦은 오후 내가 거주하는 건물의 골목이 시끌벅적했다. 단순히 골목을 거니는 행인들이 내는 소음인줄 알았건만, 다소의 소란은 꽤 오랜 시간 지속되었다. 시끄러운 소리에 데드라인이 얼마 남지 않은 작업이 방해되어 살짝 불쾌함을 느낌과 동시에 대체...
조회수 104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1년 3월 20일3분 분량
[승우] 지금 여기, 공간의 질서들
재작년과 작년,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에서 진행했었던 공간 세미나에서 나는 항상 세미나 구성원들에게 "당신이 외딴 곳에 떨어졌을 때, 그곳이 도시인지 시골인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을 던지곤 했었던 기억이 있다. 물론 이러한 질문은...
조회수 195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0년 8월 27일3분 분량
[승우] 어떠한 매끄러움들.
몇 년 전 강남에 거주하는 지인의 집에 초대된 적이 있었다. 내 기억 속의 강남은 온갖 화려한 불빛과 상품들로 가득찬 시끌벅적한 공간이었다. 하지만 그 친구가 불러준 주소에 위치한 공간은 같은 내 기억 속의 강남과는 전혀 달랐다. 조용한 아파트...
조회수 326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0년 5월 28일4분 분량
[승우] 언택트를 지탱하는 컨택트
이미 많은 이들이 지적했듯이, 코로나19(Covid19)는 우리 일상의 많은 부분을 재편하고 있다. 전염성이 강한 코로나19의 특성으로 인해 방역 시스템, 감염자 역학 분석에 대한 다양한 교범이 제기 되었으며, 이는 사회 복지, 시민의식과 같은...
조회수 123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0년 3월 5일4분 분량
[승우] 은유로서의 '코로나19'
“에-ㅅ취!” 버스의 적막감을 깬 것은 외마디 재채기 소리였다. 심드렁하게 앉아있던 이들의 시선이 모두 그 쪽으로 쏠렸다. 처음에는 괜찮았다. 재채기야 누구나 할 수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 머지않아 이들의 시선을 찌푸림으로 바꾸는 소리가 들렸다....
조회수 140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19년 12월 26일3분 분량
[승우] 빨간 냄비, 그리고 우유와 사과
어릴 적, 집에 꽂혀 있던 ‘어린이 세계명작’ 시리즈 중 <불쌍한 사람들>이라는 제목의 소설이 있었다. 이 책은 <레 미제라블>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는 소설 중 5부인 ‘장발장’ 만을 떼어 어린이용으로 각색한 책으로 기억한다. 어릴 적...
조회수 36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19년 11월 7일4분 분량
[승우] 청년 주거라는 도돌이표
얼마 전 ‘5평’이라는 공간이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논란이 되었다. 발단은 지난 달 17일 입주자 모집을 시작한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주택’에 대한 한 트위터리안의 트윗 내용이었다. 해당 트윗은 역세권 청년주택에 대해 언급하며 5평...
조회수 69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19년 8월 16일3분 분량
[승우] 지금 여기,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에 감춰진 것
[장면 하나] 마포와 회기를 오가는 261번 버스의 창밖은 노선에 따라 급격한 변이를 보여준다. 오피스텔과 모텔이 혼재한 회기역 사거리의 모습은 청량리역에 다다름에 따라 아직 잔존한 재래시장과 백화점이 상존하는 모습으로 바뀐다. 그리고 한동안...
조회수 110회댓글 0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19년 6월 20일3분 분량
[승우] 글을 쓴다는 것은 무엇인가?
몇 년 전, <단속사회>라는 책의 서문에서 “곁이 있는 글”이라는 말에 사로잡혔던 기억이 있었다. 과연 이 '곁' 이란 무엇이고 '곁이 있는 글'이란 무엇일까. 그때나 지금이나 아직도 이 화두에 대해 떠올릴 때마다 막막한 기분을 느끼곤 한다....
조회수 140회댓글 0개
메인: Blog2
메인: 구독하기
메인: 문의
문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5가길 21, 4층 (창천동)
후원계좌: 우리은행 1005-603-772962
(예금주: 사단법인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