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문화연구포럼G 소개

1년에 한차례, 우리는 동료 연구자들이 수 개월 혹은 수년간 고군분투했던 연구물의

목소리를 듣고, 공감하고, 함께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문화연구포럼G는 동시대 한국 사회/문화에 대한 새로운 앎이 생산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2024 문화연구포럼G
2024 문화연구포럼G (제7회) : 연구에 대한 연구
문화연구포럼G7_insta-001.png
KakaoTalk_20240313_154246205.jpg
KakaoTalk_20240313_154246205_02.jpg
KakaoTalk_20240313_154246205_01.jpg
2023 문화연구포럼G (제6회) : 전환을 다시 사유하기
2023 문화연구포럼G

문화연구포럼G는 젊은 문화정치연구자들의 학술적 소통을 도모하기 위한 장으로서 올해 일곱번째 포럼을 맞이했습니다. '연구에 대한 연구'라는 지정주제 발표와 자유주제 발표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소속과 전공의 동료들이 발표와 토론을 맡아주셨습니다. 많은 동료연구자 및 시민들과 함께 이야기나눌 수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랍니다.

이번 포럼의 지정주제는 '연구에 대한 연구'였습니다. 특정 주제나 방법론을 적용해 연구자가 직접 연구하는 과정에서 얻게 되는 경험과 쟁점을 모아보고, 연구자로서 살아가는 삶 자체에 대한 이야기들을 들어보고자 합니다. 연구자로서의 우리가 딛고 선 이론적·방법론적·현실적 기반을 메타적으로 바라보려고 시도하는 연구를 모았습니다.


2024 문화연구포럼G7 조직위원회

김선기, 김지수, 윤수정

문화연구포럼G6-포스터.png
DSCF8297.jpg
DSCF8285.jpg
DSCF8282.jpg
2022 문화연구포럼G (제5회) : '니편내편' 시절과 문화연구
2022 문화연구포럼G

문화연구포럼G는 젊은 문화정치연구자들의 학술적 소통을 도모하기 위한 장으로서 올해 여섯번째 포럼을 맞이했습니다. 그동안 지역적·재정적 여러 제약에도 불구하고, 매회 꾸준히 70-80명의 동료 연구자들과, 30명 남짓의 또래 패널들이 참여하는 학술행사가 되었습니다.'전환을 다시 사유하기'라는 주제 아래, 올해 문화연구포럼G에는 1개의 기획세션 발표와 5개의 자유주제 발표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공간적, 정동적, 존재론적이라는 이름표를 달고 전환에 관한 무수한 담론들이 쏟아져나오는 가운데, 여전히 기존의 연구지형에서 가려져 있는 것은 무엇인지, 동시대 문화적 재현물이나 공간에 대한 해석과 실천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각 주제들에 관해 어떠한 새로운 관점의 전환이 필요한지 탐색중인 여러 연구들을 초대했습니다.


한편, '서대문엔X포럼'세션에서는 올해 9월부터 12월까지 서울문화재단 ‘N개의 서울’ 사업의 일환으로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이 진행한 "활동가를 위한 지역/문화 연구 워크숍" 사업을 회고해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올해 문화연구포럼G6은 전면 대면으로 진행됩니다. 다양한 소속과 전공의 동료들이 발표와 토론을 맡아주셨습니다. 많은 동료연구자 및 시민들과 함께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랍니다.


2023 문화연구포럼G6 조직위원회

구승우, 김시언, 김지수, 김태환, 서도원, 서준상, 채태준

IMG_5731.JPG
iOS 이미지.jpg
20220212_170949.jpg
SNOW_20220212_132203_478.jpg
2021 문화연구포럼G (제4회) : 키워드 없음 - 모든 것이거나 아무것도 없음이거나
2021 문화연구포럼G

안녕하세요. 2022 문화연구포럼G 조직위원회입니다.

젊은 문화정치연구자들의 학술적 소통을 도모하기 위한 장인 2022 문화연구포럼G가 열립니다. 


올해 문화연구포럼G는 ‘편’의 시절로 진단했습니다. 코로나19, 대선, 투자문화의 부상 등의 국면에서 문화정치를 ‘유무‘나 ‘우리편 아니면 적‘(With or Without)의 이분법적 시각으로 재단하거나, 텍스트들에 대한 꼼꼼한 독해와는 관계 없이(With or without-) 정답을 노정한 채 진행되는 속도전 담론에 반하는 연구들을 초대했습니다. 연결과 단절의 양상을 함께 살펴보길 시도한 10편의 발표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오늘날 저널리즘과 전문가들의 입에서 자명한 듯 사용되는 ‘갈라치기’라는 개념의 정체란 무엇인지 그 용례와 효과에 관해 이야기하기 위해 활동가, 미디어생산자, 연구자와 함께 이야기나누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CBS 씨리얼 황민아 PD, 서교인문사회연구실 김현준 연구원, 조혜민 전 정의당 대변인, 한국사회주택협회 이한솔 활동가가 패널로 참여합니다. 

2022 문화연구포럼G 조직위원회 드림

​채태준, 홍단비, 도우리, 류태광, 심국보, 최성용

안녕하세요. 2021 문화연구포럼G 조직위원회입니다.

젊은 문화연구자들의 학술적 소통을 도모하는 장 '문화연구포럼G'가 벌써 네 번째 해를 맞았습니다.

포럼G는 그동안 지역적·재정적 여러 제약들에도 불구하고, 매회 꾸준히 70-80명의 동료 연구자들과, 30명 남짓의 또래 패널들이 참여하는 학술행사가 되었습니다. 새해 벽두의 칼바람을 각오해야 하지만, 포럼G는 참가자들 모두가 '수평적인 위치에서' 서로의 연구를 경청하고, 따뜻한 응원과 후끈한 토론이 오가는 재미난 '사유의 시공간'을 확보해왔다는 나름의 나부심이 있습니다. 해를 거듭할수록, 포럼G가 대학원이라는 울타리, 학문장이라는 경계에 국한되지 않고, 연구를 하며 혹은 세미나를 하며 마주했던 다양한 사람들과 현장을 이어주는 하나의 '사건'이 될 수도 있겠다는 감각도 생겨났습니다.

그러나 2020년 한해 코로나 바이러스의 위협 속에서 일상의 전 영역이 뒤흔들리고 이것이 쉽게 회복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속되면서, 포럼G 기획단 내부에서는 여러 고민들을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포럼의 방향을 제언할 시의성 있는 '포럼의 대주제'가 무엇이 되어야하는가에 대한 의견 차이를 좁혀낼 수 없었습니다. 

누군가는 이미 여러 학회에서 논의된 바 있는 '뉴 노멀'이나, 안전의 문제를, 누군가는 코로나 국면에서 오히려 더 문제적으로 드러나는 사회의 불평등, 계급, 노동의 문제를, 또 누군가는 그간 사회와 학계에서 제기해왔던 공정담론이나 소수자성, 폭력의 문제를 포럼에서 주목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몇 번의 논쟁을 거듭하면서 결국 우리는 이 다양한 주제들이 '저마다의' 시의성을 가지고 있다는 판단에 이르렀습니다. 그리곤, 포럼의 대주제를 단일한 명제나 개념으로 한정할 것이 아니라 '키워드 없음'으로 열어두어야겠다는 결론도 지을 수 있었습니다.

포럼G는 엄밀한 개념들과 간결한 언어로 정돈되지 않아도, 모두를 설득할 수 있는 탁월한 성취가 아니어도, 그저 지금 이 국면에서 정동하고 정동되는 사유의 갈래들을 여과없이 나누는 자리를 마련해보고자 합니다. 다양한 소속과 전공의 동료들이 발표와 토론을 맡아주셨습니다. 함께 하시는 청중들께도 깊이 감사드리며, 늘 바라왔듯 앞으로도 이 자리가 많은 분들과 만나뵙고 생각을 나누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2021 문화연구포럼G 조직위원회 드림
구승우, 김선기, 김지수, 김화연, 문지은, 박소정, 박종수,

​옥미애, 이준형, 임동현, 정보영, 채태준, 홍단비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2020 문화연구포럼G (제3회) : 청년의 위치·경계·문화

대학원생(Graduate students)을 비롯한 젊은 연구자들이 모이면(Gathering), 뭐 든 해볼 수 있지(Ground-breaking) 않겠냐는 근자감으로부터 출발한 문화연구포럼 G가 어느덧 세 번째 만남을 가집니다. (포럼G로부터 출발한) 사단법인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신문연) 창립 이후 첫 행사인 올해의 포럼G는 처음으로 학교가 아닌 지역사회 청년공간인 ‘신촌 파랑고래’에서 젊은 문화연구자들의 만남을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올해 포럼G의 주제는 ‘청년의 위치·경계·문화’입니다. 이번 포럼G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술행사에서 점차 젊은 연구자들의 관심이 ‘청년’이라는 범주에 의해 굴절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총선을 앞두고 유난히 또다시 ‘청년’이 사회적 의제로 떠오르고 있는 지금, 우리는 오늘날 내적으로 이질적인 집단인 청년층에서, 그리고 ‘청년’이라는 말을 자꾸 동원하는 사회담론에서, 어떠한 위치들과 어떠한 경계들이 생산되고 있는지를 문화연구적인 관점에서 차분히 되짚어봐야 할 필요를 느낍니다. 청년문화에 관한 네 개의 발표, 그리고 ‘지방청년’이 상상되는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를 던지려 하는 라운드테이블을 준비했습니다. 다양해서 더 흥미로운 네 개의 자유주제 발표와,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하려 하는 ‘한국어 문화연구 아카이브’ 프로젝트에 대한 라운드테이블도 주목해주세요.

 

신문연과 포럼G는 진정한 의미에서 학제적이며, 또 열린 공간이 되기를 지향합니다. 우리들의 현 위치는 계층적으로도, 분과나 연구관심, 학술 장에서의 신분에 있어서도 모두 다르지만, 우리는 그러한 경계들을 넘나들면서 새로운 학술 문화를 만들어보고자 합니다. 이번 포럼에서도 학부생과 박사-전업연구자, 학술지식 매개자가 함께 모여 논의하고, 대학 제도와 대학 밖 연구 거점들이 만나 소통하며, 학교와 학과를 넘어 이야기하는 시간을 만들어보고자 노력했습니다. 지난 10월부터 함께 포럼G를 준비한 기획단원들, 신문연 연구원들, 그리고 발표와 토론을 준비해주신 많은 동료 연구자들 서로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행복하세요!

2020 문화연구포럼G 기획단 드림

구승우, 김선기, 김태윤, 문지은, 박종수, 옥미애, 이준형, 임동현, 채태준

2020 문화연구포럼G
2019 문화연구포럼G
2019 문화연구포럼G (제2회) : 공동체-정경 Community-Scape
2019gsession.png
IMG_30943.png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오늘 2019 문화연구포럼G에 와주신 분들께 환영의 말씀을 전합니다.

2018년에 처음 꾸려졌고 이번이 두 번째인 문화연구포럼G는, 문화연구를 하는 동료의 존재를 확인하고 교류하고자 하는 열망으로부터 출발했습니다. 포럼G가 ‘학술대회’의 형식을 빌리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학술’보다는 ‘대회’에 대한 마음을 더 크게 품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그런 마음 때문인지 작년 포럼G에서는 ‘문화연구하기’를 주제로 다양한 문화연구자들과 대담했고, 올해 포럼G에서는 ‘공동체-정경 Community-Scape’을 주제로 삼게 됐습니다.

 

공동체의 형상들이 흐릿해져 가거나 새로운 형태로 바뀌어가는 현재, 우리가 가졌던 ‘함께 있음’에 대한 이해는 유통기한을 넘겼고, 과거와 오늘에 비춘, 새로운 공동체에 대한 상상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몇몇 발표문들을 통해 우리 ‘문화연구하는’ 사람들의 학술적 공동체에 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시공간을 공유하는 국가와 민족이라는 공동체 형태의 정경, 하위문화적 실천들을 공유하는 공동체의 정경, 특정한 표상을 중심으로 모여드는 정동 공동체로서의 팬덤의 정경 등에 관해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이제 어떤 공동체에 대한 상상으로 나와 타자를 이해하게 될까요? 지금-여기 모인 우리의 사유가 교차하길 바랍니다.
 

공동체에 대한 논의 외에도 독특하고 흥미로운 발표문들을 받았습니다. 청년세대의 동시대적 심상에 대한 논의, 공간과 시각 문화정치에 대한 논의들이 더 풍부한 포럼G를 만들 것으로 기대합니다. 발표자와 토론자들 외에 오늘 자리하신 플로어의 손님들께서도 자유롭게 말씀 덧붙이거나 비판해주십시오. 동료의 목소리를 듣고 내 목소리로 공명하는 자리가 되길 기대합니다.

 

특별히 감사의 말씀을 전할 분들이 계십니다. 발표, 토론, 사회를 맡아주신 여러 동료 여러분께 고맙습니다. 여러분들이 학술적 논의로 운을 떼주신 덕에 오늘 이 자리가 가능했습니다. 포럼G를 후원해주신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연세대 미디어문화센터, 서강대 문화연구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에 감사드립니다. 도움주신 덕에 더욱 알찬 포럼 준비가 가능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포럼G에 관심 보여주시고 성원해주신 학계 선후배, 지금 함께 하시는 청중들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관심을 가져주신 덕에 용기 있게 포럼을 추진할 수 있었습니다. 소통하고 연대합시다. 감사합니다.

2019 문화연구포럼G 조직위원회 드림
김선기, 옥미애, 이아영, 이준형, 임동현, 전인화, 채웅준, 채태준

2018 문화연구포럼G (제1회) : Doing Cultural Studies

갈증이 있었습니다. 
대학원생인 나는 문화연구를 잘 배우고 있는 것일까?
졸업을 하고 나서도 나는 문화연구를 계속할 수 있을까?
내가 연구하는 이 주제도 문화연구라고 할 수 있는 것일까?
많은 고민이 들 때마다, 
함께 이야기를 나눌 동료가 필요했습니다. 

동료를 만날 기회는 부족했습니다. 
학교 안에 문화연구를 하는 학생들은 많지 않았습니다. 
언론학회 대학원생컨퍼런스는 2017년부터 열리지 않습니다. 
문화연구캠프가 있지만 대학원생간 교류의 의미는 상당히 축소되고 있습니다. 

긴 침묵을 깨고 비슷한 고민들이 모였습니다. 


연세대 영상커뮤니케이션전공, 
그리고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내에서 문화연구를 하는 대학원생들이
우선 길을 만들기 시작해보기로 했습니다. 
영상커뮤니케이션전공 콜로키움 행사가
[문화연구포럼G]로 변신하게 된 이유입니다. 

G의 의미가 궁금해지는 행사제목을 짓고 나서, 
여기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Graduate-students 대학원생들이
Gathering 모이면
Ground-breaking 획기적인
무언가를 함께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아직은 미약합니다만, 
너무 높지 않은 문턱으로
이런저런 연구들, 생각들, 고민들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2018년 1월 29일의 첫 포럼을 준비했습니다. 


대학원생 동료 여러분,

여러분들 마음속의 문화연구는 무엇입니까?
아직 미완성인 문화연구포럼G의 의미를 함께 채워주세요. 
그 생각들을 앞으로 더 모으고 나눌 수 있기를 기다립니다.
우리의 문화연구를 이야기하고, 새롭게 써보아요.
가봅시다, 지금 우리.

2018 문화연구포럼G 조직위원회 드림
김선기, 김의환, 김지윤, 김진주, 김효영, 노희영, 양대은, 은영준, 이준형, 임동현, 채웅준

2018 문화연구포럼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