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리서치톡G는 주제에 관심 있는 동료 시민, 연구자와의 대화를 통해 

진행 중인 연구를 발전시켜나가는 신문연의 학술교류 프로그램으로 누구나 발표와 토론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보다 밀도있는 아이디어 교류를 위해 연구자의 원고를 먼저 공유한 뒤 리서치톡G를 진행합니다.

리서치톡G 개최 내역

#031 | 20240415 | 김선기 연구원 |

청년 정치인들의 청년 수행에 관한 연구: 잠재 상태의 전복 전략 |

#030 | 20240415 | 박순후 연구자 |

​민주화 이후 정치적 장의 구조화와 청년 정치: 부르디외의 장과 자본 개념을 중심으로 |

#029 | 20231222 | 현우식 회원 |

​라클라우 사상의 형성과 한국에서의 수용과정에 대한 연구: 비판이론의 과학성과 실천성 문제를 중심으로 |

#028 | 20231128 | 최서현 연구자 |

몸된 자연으로서 제주 해녀의 바다: 신유물론을 통해 본 비인간 자연의 행위자성과 공-생하는 몸들 |

#027 | 20231030 | 이준형 회원 |

대학 청소노동자 운동과 학생 반대 행동: 일상화된 분쟁의 정치(2003-2023) |

#026 | 20231030 | 윤세정 회원 |

다중 의제 활동가의 집단적 정체성과 미시적 연대 |

#025 | 20230626 | 박지윤 연구자 |

​팬데믹 환경 속에서 우리는 기술을 통하여 어떻게 느슨하게 연대하는가? |

#024 | 20230503 | 석지훈 회원 |

20세기 전반 한국 문화 엘리트의 미디어 생산과 헤게모니적 "한국 문화"의 창출 |

#023 | 20230426 | 우준하 회원 |

배봉기의 기억과 증언의 성격 - 전후 오키나와에서 위치성과 주체성을 중심으로 |

#022 | 20230330 | 김영일 회원 |

팬데믹 시대에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 다시 읽기:

폴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를 통한 알베르 카뮈와 미셸 푸코의 비교연구 |

#021 | 20221220 | 장소정 연구자 |

여성 대학생들의 일본군 '위안부' 운동 경험 연구​

#020 | 20221130 | 김상범 회원 |

『안티 오이디푸스』에서 기호의 문제

#019 | 20221027 | 최탐 연구자 |

영화와 신화, 희생양을 통해 보는 성스러움과 속됨에 대하여 -영화 <킬링디어>(2018)를 중심으로

#018 | 20220711 | 석민지 회원 |

경계 위 장소로서의 공항 속 양립가능성에 대하여 |

#017 | 20220530 | 김선기 연구원 |

​사회연구는 어떻게 세대의 절반을 지우는가?: 설문조사 및 FGI 연구방법에 관한 성찰 |

#016 | 20220405 | 신승현 회원 |

포스트메모리와 평화의 기억공간: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과 용호도 포로수용소 폐허를 중심으로 |

#015 | 20211210 | 최성용 회원 |

청년조합원과 민주노총: 5개 사업장 사례연구 |

 

#014 | 20211126 | 홍단비 연구원 |

저임금 불안정노동 청년들의 노동경험과 '우회적 이행기'에 관한 연구 |

 

#013 | 20210930 | 채태준 연구원 |

한국 영화 속 '반려동물' 재현의 정치적 무의식 - 2000년대 이후 극영화를 중심으로 |

 

#012 | 20210527 | 이정인 회원 |

'지방대학교'에서 '페미니스트'로 살아가기 |

 

#011 | 20210429 | 김지수 연구원 |

온라인 하위문화에서 드러나는 정신질환 경험과 교차성 |

 

#010 | 20210331 | 박서재 회원 |

공간과 공연의 상관관계, 그리고 그 관계에서 들여다보는 우리의 공간 인생 |

 

#009 | 20210225 | 박종수 연구원 |

한국 조폭코미디영화의 남성성 연구 |

 

#008 | 20201216 | 홍단비 연구원 |

저임금 불안정노동 청년들의 감정구조 |

 

#007 | 20200916 | 이준형 연구원 |

헤게모니 구성체와 미디어-셀레브리티라는 계기 |

 

#006 | 20200617 | 김선기 연구원 |

장-특정적 세대 연구 프로그램 |

 

#005 | 20200422 | 옥미애 연구원 |

반려동물문화에 대한 이해: 변칙(anomaly), 역치성(liminality)을 중심으로 |

 

#004 | 20200408 | 노가빈 회원 |

(각자의 방에서 세상을 표류하는) 청년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

 

#003 | 20191204 | 채태준, 김선기 연구원 |

세대주의 아카이브: <90년생이 온다>에 대한 비판적 분석 |

 

#002 | 20191023 | 이준형 연구원 |

신진연구자 네트워크의 필요성 |
 

#001 | 20191023 | 정보영 연구원 |

새로운 세대의 새로운 사회운동: 청년활동/운동 조직 네트워크 분석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