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온라인 청년패널 설문조사 결과보고서>, 2023
경기청년지원사업단 용역으로 수행한 설문조사의 결과보고서
연구진: 김선기(책임), 정보영, 김지수, 홍단비, 서우빈
<표 1-1> 1회차 설문조사의 조사 내용 11
<표 1-2> 응답자 특성 12
<표 1-3> 주관적 건강상태 14
<표 1-4> 월평균 의료비 지출 16
<표 1-5> 의료비 지출 부담 18
<표 1-6> 의료비 지출 대비를 위한 보험가입 및 저축 여부 20
<표 1-7> 규칙적 운동 여부 22
<표 1-8> 우울 척도 24
<표 1-9> 정신건강 증상 26
<표 1-10> 정신건강 의료 미충족 여부 28
<표 1-11> 정신건강 의료 미충족 이유 (N=149) 30
<표 1-12> 소진(번아웃) 경험 31
<표 1-13> 소진(번아웃) 이유 (N=489) 33
<표 1-14> 사회적 지지(급전, 생활비, 질병) 34
<표 1-15> 사회적 지지(정신건강, 일상, 진로) 36
<표 1-16> 사회적 지지(주거/금융/법률) 38
<표 1-17> 고립청년 여부 40
<표 1-18> 고립청년으로 지낸 기간 (N=30) 42
<표 1-19> 주변 고립청년 인지 여부 (복수응답) 43
<표 1-20> 고립청년 문제 해소를 위해 필요한 지원 방안 44
<표 2-1> 2회차 설문조사의 조사 내용 46
<표 2-2> 응답자 특성 47
<표 2-3> 주거 점유 형태 49
<표 2-4> 주택 형태 51
<표 2-5> 특수주거형태 53
<표 2-6> 최저주거기준 만족 여부 55
<표 2-7> 보증금 (N=385) 57
<표 2-8> 월세 (월 평균) (N=216) 59
<표 2-9> 주거 자금 출처 60
<표 2-10> 월세를 제외한 월 평균 주거관련 비용 61
<표 2-11> 소득대비 주거지출 비율 63
<표 2-12> 1인가구 여부 65
<표 2-13> 부모로부터 독립한 이유 (N=219) 66
<표 2-14> 독립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 (N=219) 67
<표 2-15> 독립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 해결 (N=219) 68
<표 2-16> 부모와 동거 여부 69
<표 2-17> 부모로부터 독립하지 않은 이유 (N=417) 70
<표 2-18> 현재 동거인 (복수응답) 71
<표 2-19> 45세 시점 희망 동거인 (복수응답) 72
<표 2-20> 독립하기에 적당한 나이 73
<표 2-21> 주거 관련 가치관 74
<표 2-22> 주거 관련 가치관 – 연령대별 교차 (N=787) 75
<표 2-23> 주거 관련 가치관 – 성별간 교차 (N=787) 77
<표 2-24> 주거 관련 가치관 – 권역별 교차 (N=787) 78
<표 2-25> 주거 관련 가치관 – 고용상태별 교차 (N=756) 80
<표 2-26> 주거 관련 가치관 – 학력별 교차 (N=756) 82
<표 2-27> 주거 관련 가치관 – 주관적 계층의식별 교차 (N=756) 84
<표 2-28> 주거정책 인지 여부 86
<표 2-29> 주거정책 인지 여부 – 연령대별 교차 (N=787) 87
<표 2-30> 주거 정책 관련 인식 – 성별간 교차 (N=787) 89
<표 2-31> 주거정책 인지 여부 – 권역별 교차 (N=787) 90
<표 2-32> 주거정책 인지 여부 – 고용상태별 교차 (N=756) 92
<표 2-33> 주거정책 인지 여부 – 학력별 교차 (N=756) 94
<표 2-34> 주거정책 인지 여부 – 주관적 계층인식별 교차 (N=756) 96
<표 2-35> 공공임대주택 관련 정보 확인 빈도 98
<표 2-36> 주택청약 관련 정보 확인 빈도 100
<표 2-37> 주택청약 저축 빈도 102
<표 2-38> 주거정책 선호 104
<표 2-39> 1일 통근 평균 비용 105
<표 2-40> 1일 통근 평균 시간 106
<표 2-41> 주거환경 만족도 107
<표 2-42> 주거환경 만족도 - 연령대별 교차 (N=787) 108
<표 2-43> 주거환경 만족도 - 성별간 교차 (N=787) 110
<표 2-44> 주거환경 만족도 - 권역별 교차 (N=787) 111
<표 2-45> 주거환경 만족도 - 고용상태별 교차 (N=756) 113
<표 2-46> 주거환경 만족도 - 학력별 교차 (N=756) 115
<표 2-47> 주거환경 만족도 – 주관적 계층의식별 교차 (N=756) 117
<표 2-48> 주거 안전을 위해 필요한 정책 119
<표 2-49> 거주지 이전 시 어려운 점 121
<표 3-1> 3회차 설문조사의 조사 내용 124
<표 3-2> 응답자 특성 125
<표 3-3> 인권 존중감 127
<표 3-4> 인권침해에 대한 인식 129
<표 3-5> 인권침해 경험 – 모욕적 언행 / 차별 시선 / 주변 환경 131
<표 3-6> 인권침해 경험 – 안전 위협 / 공공장소 퇴거 / 민간장소 퇴거 133
<표 3-7> 인권침해 경험 – 사생활 침해 135
<표 3-8> 차별 경험 - “사람들은 나를 무례하게 대하였다” 137
<표 3-9> 차별 경험 - “사람들은 나를 존중하지 않았다” 139
<표 3-10> 차별 경험 - “식당이나 상점에서 소홀한 대접을 받았다” 141
<표 3-11> 차별 경험 - “사람들은 나를 똑똑하지 않다는 듯이 대했다” 143
<표 3-12> 차별 경험 - “사람들은 나를 두려워하는 것처럼 행동했다” 145
<표 3-13> 차별 경험 - “사람들은 자신들이 나보다 더 나은 것처럼 행동했다” 147
<표 3-14> 차별 경험 - “사람들은 나에게 욕설을 하거나 모욕감을 줬다” 149
<표 3-15> 폭력 경험 – 신체적 폭력 151
<표 3-16> 폭력 경험 – 언어적 폭력 153
<표 3-17> 폭력 경험 – 정서적 폭력 155
<표 3-18> 폭력 경험 – 성적 폭력 157
<표 3-19> 폭력 경험 – 경제적 폭력 159
<표 3-20> 인권침해 발생 출처 160
<표 3-21> 인권침해 발생 사유 161
<표 3-22> 인권 증진 정책 방향 162
<표 3-23> 더 중시하는 가치 – 일과 여가 163
<표 3-24> 더 중시하는 가치 – 현실과 이상 165
<표 3-25> 더 중시하는 가치 – 개인과 집단 167
<표 3-26> 자기 인식 - “나는 사회로부터 충분한 관심과 지원을 받고 있다” 169
<표 3-27> 자기 인식 - “나는 어려울 때 의지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 171
<표 3-28> 자기 인식 - “나는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대해 잘해 나갈 수 있다” 173
<표 3-29> 자기 인식 - “나는 실패해도 다시 일어설 기회가 있다” 175
<표 3-30> 자기 인식 - “나는 정부가 하는 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177
<표 3-31> 집단 간 갈등 인식 - 세대 179
<표 3-32> 집단 간 갈등 인식 - 계층 181
<표 3-33> 집단 간 갈등 인식 - 지역 183
<표 3-34> 집단 간 갈등 인식 - 성별 184
<표 3-35> 집단 간 갈등 인식 - 인종 186
<표 3-36> 소득불평등에 관한 인식 187
<표 3-37> 가치관 – 복지 책임 189
<표 3-38> 가치관 – 소득 불평등 인식 191
<표 3-39> 가치관 – 경쟁 인식 193
<표 3-40> 가치관 – 기업 규제 195
<표 3-41> 가치관 – 사회적 질서와 개인의 자유 197
<표 3-42> 가치관 – 교육 방향 199
<표 3-43> 향후 결혼 의향 201
<표 3-44> 향후 출산 의향 203
<표 3-45> 청년 연령에 관한 생각 205
<표 3-46> 청년정책 우선순위 206
<표 3-47> 변화가 필요한 정책 패러다임 207
<표 3-48> 출산·양육 정책 선호 208
<표 3-49> 정책 참여 의향 – 청년기본소득/청년노동자통장/학자금대출이자지원 209
<표 3-50> 정책 참여 의향 – 면접수당/어학·자격시험실비지원/공동체활동지원 210
<표 3-51> 정책 참여 의향 – 마음상담소/청년참여기구 211
자료 링크: https://drive.google.com/file/d/12_Bsh_Gk98xvRbmYZgoPpIh0c4Xz9H1e/view?usp=drive_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