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별 서울청년센터(가칭) 운영을 위한 청년지원 서비스 대상자 및 매개자 의견조사>, 2019
서울특별시 청년청 제출 연구보고서
연구진: 김선기(책임), 옥미애, 홍단비
본 연구는 서울청년센터 개소를 앞두고, 청년정책 전달체계로서 서울청년센터의 브랜딩 방안과 프로그램 운영방안을 고민하는 데 참조점이 되어야 할 청년지원 서비스 대상 자와 매개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서 진행하였다. “청년지원 서비스 대상자”는 ‘향후 서울청년센터에서 제공될 청년지원정책의 대상군’으로, 마음건강·금융(부채)·주거·노동/일자리·커뮤니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공공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청년 일반에 해당하며, “청년지원 서비스 매개자”는 ‘향후 서비스 대상자에게 청년지원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자원 연계를 통해 청년지원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주체’로, 현재 청년지원사업에서 매니징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담당자 및 청년정책 관련 민간주체·단체에 해당한다. 매개자 군은 사실상 청년지원 관련 지역자원들을 연결하는 서울청년센터의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서울청년센터 사업의 대상자라고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서울청년센터의 이용대상이 될 것으로 여겨지는 청년층(만19세에서 만34세까지의 청년)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을 주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의견수렴을 위한 초점집단면접(FGI) 설계 및 자료 해석, 대안 제시 등을 위해 사회복지·공공정책 전달체계와 관련된 문헌을 조사함으로써 연구진의 관점을 확보해 나가는 부분이 보완적으로 진행되었다.
보고서는 총 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연구의 배경과 목표, 방법 및 진행 현황을 간략하게 서술하고 있다. 2장에는 기존의 사회복지 및 공공정책 전달체계에 대한 문헌조사 내용을 정리하였다. 전달체계의 설계와 관련한 일반론도 간략하게 정리하 였지만, 서울청년센터 설계에 있어서 조금 더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사례들을 별도로 추가 정리하였다. 3장은 포커스그룹인터뷰 결과를 정리한 내용이다. 그룹별로 연구참여자들의 삶 및 정책 욕구를 정리하고, 이들이 서울청년센터 설계와 관련하여 설치 위치, 사업(프로그램), 운영 방안, 매니저(직원), 공간 설계, 브랜딩 전략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의견을 제시하였는지를 정리하였다. 결론에 해당하는 4장에는 앞에서 서술한 연구결과와, 청년청 공론장 내용 및 청년지원 서비스 매개자 그룹과의 추가 인터뷰 내용 등을 바탕으로 최종적인 서울청년센터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제안을 담았 다. 연구결과가 서울청년센터 민간위탁시 과업 설계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특히 본 연구가 서울청년센터 개소를 앞두고 진행되는 파일럿 성격의 연구인만큼 향후 청년지원 정책에 대한 추가적인 수요 확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자료 링크: https://drive.google.com/file/d/1WHNhsSwyvVyns6bvix4fihK2RoZFeE67/view?usp=drive_link